본문 바로가기

칼럼

[씨줄날줄] 일왕과 천황/황성기 논설위원

대통령의 일본 방문 때마다 소소한 논란이 됐던 게 일왕의 호칭이다. 정부는 김대중(DJ) 대통령의 1998년 10월 첫 방일을 한달쯤 앞두고 일왕을 ‘천황’으로 부른다고 선언했다. 찬반이 팽팽했지만 DJ는 천황이란 호칭을 밀어붙였다. 그는 오부치 게이조 총리와 ‘21세기 파트너십’이란 한·일 외교사에 남을 성과를 거뒀다. 거기에는 상대국 원수를 존중하는 한국 정부의 배려가 작용했다. 천황 호칭에 대해 청와대가 실시여론조사에서 방일 전 59.1%이던 반대가 방일 후에는 51.7%로 줄었고,31.7%이던 찬성은 35.4%로 늘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2005년 연두회견에서 ‘천황’을 언급한 적이 있다. 그는 “일본에서는 천황이라고 부르지요.”라면서 “세계적으로 보편적으로 불리는 이름인지 확인하지 못했다.”며 능청맞게 ‘천황’이란 호칭을 썼다. 과거사를 반성하지 않는 일본에 대해 ”버르장머리를 고쳐 놓겠다.”던 김영삼 대통령도 94년의 방일 때 일왕 주최 만찬에서 천황이란 말도 모자라 ‘천황폐하’란 극존칭을 쓰기도 했다.

거기에 비하면 이명박 대통령의 방일 중에 나온 ‘천황’ 발언은 화젯거리조차 되지 않았다. 그가 “천황이 방한 못할 이유가 없다.”고 자연스럽게 호칭을 쓴 것에 대해 일부 네티즌들이 “역사관이 의심스럽다.”고 꼬집었지만 논란은 확산되지 않았다.

일왕이란 표현은 일종의 신문 용어다.1980년대 역사교과서 왜곡 파동과 재일동포 지문날인 강요로 반일 감정이 극에 달하면서 천황을 격하시켜 일왕으로 표기했다. 대통령은 천황이라 부르는데 신문과 방송은 꼬박꼬박 일왕으로 바꾸어 쓴 게 20년이 넘었다.

“천황이라는 용어는 일본의 고유명사이므로 그대로 불러준다.”는 정부 입장은 더도 덜도 없이 맞다. 태국 국왕, 영국 여왕처럼 일본 국왕으로 하자거나, 천황의 일본 발음인 ‘덴노’로 부르자는 대안도 있으나 적절치 않다. 일왕이란다고 해서 국격이 높아진다거나, 천황이란다고 해서 굴욕스럽다는 단선적 사고는 버릴 때가 됐다. 한·일관계의 본질과도 거리가 멀다. 미래 지향의 한·일 신시대를 열자는 마당에 대통령과 언론의 ‘천황’ 호칭은 이제 통일시키는 게 자연스럽다.

황성기 논설위원 marry04@seoul.co.kr

2008-04-24  31면